시내 중심가 사무지역이나 유흥가에 주로 자리잡았던 편의점들이 이제는 주택가를 파고들고 있다.
불황기 소비자들의 알뜰형 소량 구매 패턴에 맞춰 슈퍼마켓과 비슷하게 점포를 꾸미고 주부들을 공략하고 있다.
29일 GS25에 따르면 지난해 새로 연 점포의 주변 상권을 분석한 결과 49.4%가 주택가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길가 23.6%, 유흥가 17.8% 순으로 많았다.
이처럼 편의점이 주부 고객 잡기에 적극적으로 나선 이유는 최근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주부들의 소비 패턴이 달라져 편의점 이용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GS25는 설명했다.
IMF 이후 소비자들은 가장 가격이 싼 곳을 찾아 대형마트를 찾기 시작했지만, 최근 불황기에 접어들면서는 이용 시간이 길고 대량 구매가 많은 대형마트보다 필요한 상품만 소량으로 구매할 수 있는 편의점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주택가에 위치한 GS25 점포의 여성 고객 비율은 2007년 39.4%에서 지난 해 40.8%로 늘었고 올 들어 지난 1월에는 43.2%까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주택가 상권을 중심으로 기존 편의점들이 `슈퍼형 편의점'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일반 편의점 상품뿐만 아니라 야채, 양곡, 과일 등 100여가지가 넘는 신선식품과 대형마트 상품 구색을 늘리고 가격도 슈퍼마켓 수준으로 맞추고 있다.
이렇게 같은 자리에서 일반 편의점이 슈퍼형 편의점으로 변경한 경우 매출이 2배 이상 오른 사례가 많다고 GS25는 전했다.
또 이 같은 슈퍼형 편의점 150여개 전체의 매출은 2007년 전년 대비 56.3% 신장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전년 대비 60.6%나 올랐다고 덧붙였다.
GS25 MD기획팀 변재훈 과장은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편의점에서 간단하게 장을 보는 고객들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이에 따라 올해에도 슈퍼형 편의점을 100개 이상 추가로 오픈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푸드투데이 이경희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