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을 위한 강력한 대책을 세워라’
유전자재조합식품(GMO)·조류인플레인자(AI)·미국산 쇠고기 수입 등 안전을 장담할 수 없는 악재들이 줄지어 우리의 식탁을 겨냥하고 있는 가운데 먹을거리 안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정부 당국에서는 특별대책이란 이름으로 각종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으나 과연 이런 대책들이 우리의 식탁을 얼마나 지켜줄지 의문이라는 것이 국민들의 일관된 반응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산 GMO 옥수수 3만여톤이 지난 8일 전북 군산항에 입항했다.
지난 1일 울산항으로 들어온 5만7000여톤에 이어 두번째로 이로서 전분당업체들이 GMO옥수수 수입 결정이후 국내에 들여온 GMO옥수수는 9만여톤에 달하게 됐다.
특히 이번 GMO옥수수 수입은 세계 곡물수급 불안에 따른 고육지책이었다는 점에서 예전보다 저항을 상대적으로 덜 받긴 했으나 아직도 안전에 대한 확신이 없다는 점에서 확실한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고 시민단체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시민단체의 한관계자는 “원료 수급의 문제로 GMO식품이 들어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GMO표시제도의 대상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강구해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기반이라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전북 김제를 시작으로 발병된 AI가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등 거대 사안에 묻혀 여론화가 되지 않는 사이 AI는 김제·정읍·영암·나주·평택·순창·익산·논산·울산·영천 등 전국 각지를 휩쓸었다.
더우기 지난 7일에는 서울시 광진구 동물 사육장에서 폐사한 닭을 검사 결과 고병원성으로 확진돼 AI 차단 방안과 함께 이에따른 안전대책 마련이 발등에 불이됐다.
이미 일부 치킨점들은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겨 장사에 애를 먹고 있다.
서울 상계동에서 모 치킨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고 있는 이승준씨(45)는 “정부에서는 AI가 발병해도 국민들이 동요하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으나 실제 치킨 매출은 AI 발생전보다 60%나 격감했다”며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대형마트들도 AI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실정이다. 모마트의 경우 AI 서울 확산소식이 전해진 이후 6~7일 매출이 생닭은 전주보다 120%, 달걀은 20% 가량의 매출 감소를 보였고 다른 마트의 경우도 상황은 비슷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닭은 섭씨 75도에서 5분이상 조리하면 안전하다”며 AI 발병했다고 하여 국민들이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도 식탁에는 걱정거리다. 미국이 세계수역사무국으로 부터 광우병 청정국으로 지정을 받았으나 여전히 미국산 쇠고기는 광우병 위험이 있다는 인식이 국민들의 뇌리속에 박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는 2차례에 걸친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오해를 풀려 했으나 되레 불신만 키운 꼴이 됐으나 비판이 나오자 깊은 한숨을 몰아 쉬고 있다.
또한 정부가 내놓은 안전대책중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원산지 표시규정에서 햄버거나 피자 등 패스트푸드 식품이 빠져 있는 것은 이해가 안된다는 게 소비자단체들의 주장이다.
소비자 단체의 한 관계자는 “모든 음식점에 원산지 표시를 추진하면서 육류 사용이 많은 패스트푸드점을 제외한 것은 납득키 어렵다”며 “원산지 표시 대상의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푸드투데이 이상택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