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값 폭등과 돼지 가격 하락으로 줄도산 위기에 처한 양돈 농가들이 마침내 정부에 긴급 수매를 요청하고 나섰다.
아울러 이들은 배합사료 업체들에 원가 공개를 요구하며 사료 값 인상 폭의 적정성에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대한양돈협회는 16일 정부측에 돼지고기 긴급 수매를 이달 안에 시행하지 않으면 양돈산업 기반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협회의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계속되는 사료가격 강세로 평균 생산비는 급증한 반면 돼지 및 돼지고기 값은 떨어지면서 양돈 농가는 돼지 1마리를 기르면 이익은 커녕 평균 5만4000원 정도의 손해를 보고 있다.
하루 전국에서 5만7400여 마리가 도축되는 점을 고려하면 전체 양돈농가 입장에서 매일 31억원에 달하는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협회는 도매시장 전국 평균 돼지고기 가격이 1㎏당 3500원 밑으로 떨어질 경우 정부가 하루 도축 물량의 최대 10% 정도는 사들여야 시장이 유지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수매한 돼지고기 가운데 삼겹살, 갈비 등 선호 부위는 공매하고, 등심과 뒷다리 등 비선호 부위는 대북지원이나 해외수출용으로 사용할 것도 제안했다.
14일 현재 돼지고기 도매 가격은 1㎏당 3193원으로, 제안된 수매 발동 기준 3500원을 이미 크게 밑돌고 있다. 때문에 협회는 이달 안에 반드시 수매가 이뤄져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돈농가들도 스스로 사육 규모를 10% 정도 줄여 자체 수급 조절 노력에 동참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가들은 사료업체들의 사료값 추가 인상 움직임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양돈협회측은 "지난해 사료업체들은 적게는 수십억, 많게는 수백억까지 영업이익을 냈다"며 "회사들은 곡물 가격 상승으로 사료값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지만, 원가 공개를 통해 이를 설득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사료업계는 작년 한해 세 차례에 걸쳐 사료값을 26% 올렸고, 올해 역시 지난 2월초 7% 높인데 이어 3월초 추가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수입 증가와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로 올해 돼지가격은 10% 정도 떨어지는 반면 배합사료의 57%를 차지하는 옥수수 가격 강세로 사료비가 10~15% 뛸 경우 농가의 소득 감소율과 적자 농가 비율은 각각 48~56%, 27~31%에 이를 전망이다.
다시 말해 양돈 농가 세네 집 가운데 하나는 비용이 수입을 웃돌아 적자를 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푸드투데이 이진희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