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이하 영유아들에게서 최근 겨울철 호흡기바이러스인 RS바이러스(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발생이 급증한 것으로 조사돼 ‘RS바이러스 유행 경보’가 발령됐다. RS바이러스 유행은 지난해보다 시기가 3주쯤 빨라진 것이다.
21일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감기 등 급성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 가운데, 특히 5세 이하 영유아들에게서 RS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히 증가해 가을철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보임에 따라, 영유아들의 건강을 위해 손 씻기 등 개인위생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실험실 감시사업’ 자료를 분석해보니, 지난 9월 25일부터 이달 15일까지 3주간 RS바이러스 검출율이 각각 8.7%, 12.7%, 15.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RS바이러스의 가을철 유행 시작이 지난 3년간 발생 추이에 비해 약 3주 정도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RS바이러스 발생이 특히 1세 미만의 유아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9월 18일부터 이달 16일까지 “최근 4주간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 391건 중 23.0%인 90건이 RS바이러스였는데, RS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자의 98%인 88명이 5세 이하 영유아였으며 1세 미만 유아에서 특히 높은 발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대표적인 겨울철 유행 바이러스 중 하나인 RS바이러스는 주로 가을부터 다음해 초봄까지 발생한다. RS바이러스는 2세 이하 유아의 95%에서 최소 1회 이상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RS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 등과 같은 하기도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처음 RS바이러스에 감염된 유아 100명 중 2~3명은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입원 치료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개월 이하 신생아가 감염되는 전체 호흡기 질환의 원인 바이러스 가운데 RS바이러스가 77%를 차지해 신생아 및 어린 영아의 호흡기질환 발병의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RS바이러스는 1세 미만 유아 사망의 주원인으로 1세 미만 유아 10만명당 연간 사망률은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인한 사망보다 약 1.3~2.5배 높다. 급성 증상뿐 아니라 RS바이러스에 의해 모세기관지염이 발생한 경우, 천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도 보고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환절기 영유아의 RS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킬 것을 권고했다.
▲아기를 만지기 전에 누구나 반드시 손을 씻을 것 ▲감기에 걸린 사람들과 아기가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할 것 ▲아기가 사람이 많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아기의 장난감과 이불을 자주 세척할 것 ▲아기를 간접 흡연으로부터 보호할 것 ▲유아용 젖꼭지나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 물품들은 같이 사용하지 말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