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보호 포장, 경고표시 강화 시급
가정내 의약품, 화장품, 세척제·살충제 등으로 인한 아동중독사고가 빈번한 것으로 조사돼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한국소비자보호원(원장 최규학)이 '위해정보수집시스템'에 2001~2003년 3월말까지 수집된 만 14세 이하 어린이 중독사고 사례 127건을 분석한 결과 만 5세 미만(89%)의 아동이 의약품(37%)에 의한 사고가 가장 많았다.
어린이 중독 사고의 원인으로는 독성물질이 함유된 화학제품이나 의약품을 어린이 손이 쉽게 닿는 곳에 보관하다가 발생 경우가 전체 사고의 59.1% 였으며 , 75.6%는 보호자가 있을 때 사고가 발생하는 등 보호자의 부주의와 방심에 의한 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유발품목은 의약품 37.0%, 세정제 및 탈취제 14.2%, 화장품 10.2%, 가정용살충제 9.4%순이었다.
한편 미국·유럽 각국들은 어린이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 의약품, 가정용 화학제품이나 세정제 등의 다양한 제품에 어린이 보호포장 채택하고 주의·경고표시를 강화하고 있으나, OTC(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약품)의약품 11개 제품과 가정용 화학제품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제품들이 어린이 보호포장을 채택하고 있지 않았다.
또 외부포장이나 용기에 '어린이 주의·경고표시'를 전혀 하지 않은 제품이 9종, 주의 표시가 된 14종 중에서도 문구, 색상이 눈에 잘 띄게 표시된 것은 3종에 불과했다.
이에 소보원은 ▲가정용 화학제품에 어린이 보호 포장 도입 확대 ▲주의·경고표시 강화 ▲정부재정지원 '중독방지센터'설치 ▲어린이 중독사고 방지 주간 지정 등을 통한 지속적인 캠페인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푸드투데이 박상준 기자
pass@fenews.co.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