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 약수터 먹는 물의 수질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가 지난 1/4분기 전국 1천733개소의 약수터 등 먹는 물 공동시설에 대해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5.9%인 103곳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이는 2001년과 2002년의 1/4분기 기준초과율(4.9%)과 비교할 때 상승된 수치로 환경부의 개선 조치에도 여전히 많은 수의 약수터가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수질기준이 초과된 103개소중 총대장균군 등 미생물 기준이 초과된 84개소(81.5%)와 질산성질소가 초과된 4개소(3.8%)에는 사용중지, 오염원 제거 및 재검사 조치가 내려졌고, 15개소는 증발잔류물 및 탁도 등 심미적 영향물질이 초과, 약수터 안내판에 경고문을 부착토록 했다. 특히, 지난 1년간(4계절) 계속하여 수질기준을 초과한 서울 정심약수터 등 19개소는 영구폐쇄조치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연평균 수질기준 초과율 14.7%와 비교할 때 미생물 활동이 적어지는 계절적 특성으로 비교적 양호한 상태”라며“약수터 이용시 안내판에 게시된 수질검사결과를 확인하고, 애완동물 등의 배설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율적인 약수터 위생관리에 협조해줄 것”을 부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