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싱한 야생 두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계절이다.
산길을 걷다보면 주위에 초록색 굵은 싹의 두릅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요즘은 자연산 두릅의 채취량이 적어 가지를 잘라다가 하우스 온상에 꽃아 재배해 한 겨울에도 맛볼 수 있지만, 아무래도 두릅의 본 맛은 산에서 갓 따온 야생 두릅이 제격일 것이다.
참고로 재배두릅은 밑동이 딱딱한 나무껍질에 싸여 있고 야생두릅은 붉은 꺼풀이 꽃받침처럼 밑동을 싸고 있어 쉽게 구별된다.
하지만 재배 두릅의 경우에도 구태여 비료나 농약을 칠 필요가 없다고 하니 두릅은 어느 것을 먹더라도 무공해인 셈이다.
나무두릅은 강원도, 땅 두릅은 충청북도 지방에서 많이 재배한다.
두릅은 독특한 향이 나는 봄나물 중의 하나이며, 두릅나무의 열매와 잎, 뿌리는 약용으로 쓰고, 새싹은 식용으로 쓰인다.
‘봄나물의 제왕’ ‘야생나물의 왕자’ 등 무수한 별명을 가지고 있는 두릅은 봄철에 오갈피 나무과에 속하는 새순을 딴 것으로 목말채, 모두채 라고도 하며, 까마귀 발톱 같은 가시가 있다해 ‘자노아’, 용의 비늘과 같다 하여 ‘자룡아’ 라고도 불리는 등 다양한 이름이 있다.
두릅에는 땅 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는데, 땅 두릅은 4~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 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한다. 나무두릅은 잎자루에 가시가 돋아 있고, 잎의 앞과 뒷면에 회색이나 황색의 가는 털이 나있으며, 땅 두릅은 잎과 잎자루에 가시가 없어 이것으로 구별하게 된다.
백범 김구 선생이 유난히 두릅을 좋아했다는 얘기가 있는데, “두릅은 비록 가시가 비죽거려 못생겼지만, 그 새살은 얼마나 부드럽고, 향기로운지 모른다”며, 임정요인들에게도 춘삼월이 오면 마곡사 뒷산의 두릅나무 이야기를 자주 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쌉사름한 맛이 입맛을 돋우어 주는 두릅의 어린 싹은 독이 없어 특별한 손질 없이 식용으로 먹어도 된다.
두릅에는 단백질, 칼슘, 인, 철 같은 무기물이 다량 함유돼 있고 특히, 비타민 A·C가 풍부하다.
특히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조성이 잘 돼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 밖에도 두릅에는 특수 성분인 올레아노린산, 알파타랄린, 베타타랄린, 이라로시드 등과 사포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두릅은 혈당 강하 작용이 있어 혈당치가 높은 당뇨병 환자에게 좋고, 특히 뿌리와 줄기부분에 이러한 효능이 많다.
두릅이 혈당 강하, 혈액 순환 작용에 효능이 있는 것은 사포닌 성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사포닌 성분은 인삼의 주성분이다.
알고 보면 인삼이나 오갈피 등의 약재도 모두 두릅나무 과에 속한다고 하니, 두릅의 효능에 대해 번거롭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르겠다. 두릅이 당뇨병에 효험이 있는 것도 바로 이 사포닌의 작용으로 보인다.
두릅의 어린 싹은 단백질과 아미노산, 비타민 등 영양가가 매우 우수한 식물인데, 비타민 C와 B1이 많이 들어있으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칼슘도 많이 들어있어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불안·초조감을 없애주는 데에도 효과가 좋다.
두릅의 상큼하고 신선한 향기는 머리가 맑아지게 하는 작용을 해주며, 두릅의 쌉사름한 맛으로 봄에 잃기 쉬운 입맛을 살려 식욕을 촉진시켜 준다.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고 활력이 없는 사람에게 특히 좋으며, 정신적으로 긴장이 지속되는 직장인들과 학생들이 먹으면 머리가 맑아지고 잠이 잘 온다고 한다.
한의학적으로 두릅은 사상체질인 모든 사람에게 좋다고 한다.
두릅은 기를 보강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신장을 보호하며 풍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촉진 시키는 효과가 있다.
신경 쇠약 뿐만 아니라 신장의 양기가 부족해 발생되는 하지무력, 보행장애, 변비에도 좋으며, 두릅의 뿌리를 건조한 약재는 찬 기운이 몸에 들어오는 것을 물리치는 효능이 뛰어나 관절염, 및 중풍으로 인한 편마비와 감기와 기침 등을 치료하는데도 활용돼 왔다.
두릅나무의 껍질은 풍을 제거하고 통증을 진정시키는 작용이 뛰어나 예부터 관절염과 신경통에 자주 쓰여 온 약재로서 두릅나무의 껍질을 총목피라 해 진통제 역할에 많이 쓰인다. 하지만, 총목피는 독성이 높은 편이므로 반드시 한약 전문가와 상담 후에 복용을 해야 한다.
두릅을 약용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돗나물, 싸리버섯, 미나리를 동량으로 데쳐 즙을 내서 마시면 간암에 효과적며,말린 두릅, 대잎, 솔잎, 표고버섯, 대추를 동량으로 끓여 차로 마시면 불면증에 좋다.
또한 두릅, 영지버섯, 오미자, 구기자, 차전자, 토사자, 복분자를 동량으로 차로 달여 수시로 마시면 신장강화와 정력증강에 좋은 두릅차가 된다.
푸드투데이 -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