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역점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농업 2030 친환경농업사업이 계획 수립과 추진력 부재 등으로 인해 사업 2년 만에 주요 사업들이 잇따라 무산 되는 등 좌초하고 있다.
제주도는 2008년 4월 친환경농업 시범도 선포와 함께 5개년 계획으로 국비 919억원과 지방비 749억원, 융자 269억원, 자체부담 523억원 등 모두 2461억원을 투자하는 친환경농업 2030전략 및 분야별 세부실천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2009년부터 4년간 200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던 광역 친환경농업단지 조성사업의 경우 사업규모가 1개 단지당 1000㏊로, 사실상 도내에서 대상지를 찾기 힘든 데다 주민 반대에 부딪쳐 결국 지난해 무산됐다.
제주형 친환경 생태마을(ECO-PARK) 조성사업의 경우 2010년부터 3년간 지방비 10억원과 민자유치 100억원 등 모두 110억원이 투입돼 추진될 예정이었지만 현재까지 민간 투자자를 찾지 못해 타당성 검토도 백지화 됐다.
또 지난해부터 2012년까지 37억5000만원을 투입, 매년 5곳씩 5년간 25곳에 친환경농산물생산단지를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웰빙시대 기능성 작물 생산단지와 유사성격의 사업이란 이유로 지난해까지 7곳만 조성한후 사업을 중단했다.
이에따라 친환경농업 시범도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 가능한 사업 계획 수립과 함께 집중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김충의 도 친환경농업담당은 예산 문제 등으로 친환경농업 2030 전략에 제시된 사업을 계획에 맞춰 추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앙절충 강화와 민자유치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제주도의회 일부 의원들은 당초 계획부터 무리하게 사업계획을 마련해 추진 한결과가 드러나고 있어 사업전체에 대해 수정 보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푸드투데이 서정용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