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양배추 사주기운동을 전개한 김태환 제주도지사가 가격 하락을 내세워 감귤 소비촉진을 독려하고 나서 내년 선거에 대비한 표심 잡기위한 행정이란 빈축을 사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위원장 한영호)는 1일 제주도 친환경농수축산국에 대한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예산편성 문제에 대해 비판하고 감귤정책에만 편중하는 도정을 펴고 있어 농민들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양승문 의원(한나라당, 한림읍)은 "내년도 1차산업 분야 예산이 상당히 줄었고, 농업정책과 사업 예산만 올해보다 46.4% 감소했다"며 "더구나 내년 농축산업 분야 세액이 42% 증가했는데 세출은 46% 줄이는 것은 농수축산국이 예산절충을 잘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동우 의원(무소속, 구좌읍.우도면)은 "제주도가 친환경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하면서 내년에 499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실제 예산안에는 150여억원에 불과하다"며 "더구나 내년도 월동채소 수급과 관련해 7억700만원을 편성했는데 감귤안정생산직불제 30억원과 비교하면 월동채소 대란에 대한 대비가 너무 소홀하다"고 질타했다.
좌남수 의원(민주당, 비례대표)은 "김태환 지사는 농어촌진흥기금으로 연간 200억원을 출현하겠다고 공약했지만 한차례도 이행한 적이 없다"며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도 내국인면세점으로 막대한 수익을 내고 있지만 개발수익금이 없다는 이유로 농어촌진흥기금을 전혀 출현하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러한 상황인데도 김태환 지사는 1일 열린 12월 정례직원조회에서 우리 감귤도 맛은 좋지만 많은 생산량 때문에 어려움이 있는 만큼 각 부서별 직원별로 감귤을 가장 많이 소비한 공무원에 대해 시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10kg당 8000원이상은 되어야 하는 만큼 감귤농가가 어려움에 처했기 때문에 욕을 먹는 한이 있더라도 감귤소비 운동을 적극 추진할 것이며 이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같은 김 지사의 감귤 소비촉진 주문은 뒤끝이 좋지 않은 양배추 매취사업과 제주자치도의의회의 농업정책 편중 지적이 잇따라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강한 후폭풍이 예상된다.
게다가 올해 감귤직불제 등을 통해 수백억원의 예산이 이미 감귤산업에 투입된데 이어 다시 공무원들을 감귤 소비촉진 운동에 동원할 경우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의회농축산지식위원회 일부 의원들은 한림농협이 양배추 매취사업으로 벌어드린 수익금으로 돈잔치로 큰 문제가 발생 했는데도 공무원들에게 감귤판매량을 배분 하는것은 도백으로서 형평성을 잃은 도정을 펴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농업경영인제주특별자치도연합회(회장 김승훈)도 성명을 내고 제주도에 2010년도 1차산업 예산안 삭감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한농연제주도연합회는 “(제주도의)내년도 전체 농수축산업 예산은 3553억원으로 올해 3950억원에 비해 10.0% 줄었다”며 “제주도가 내년 총 예산을 올해 2조6962억원보다 2.9% 증가한 2조7735억원으로 편성한 점에 비춰 1차산업을 홀대한다는 지적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한농연제주도연합회는 이어 “제주도는 1차산업 예산삭감 방침을 철회하고, 도의회도 농민을 위한 예산안 처리에 열과 성의를 다해달라”고 밝혔다.
푸드투데이 서정용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