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산 노지감귤의 가격안정을 위해 추진 하려던 감귤 출하 물량 조정이'자율시행'으로 귀결돼 홍수 출하가 우려되고 있다.
1일 오후 노지감귤 출하조절 회의에 참가한 농가, 생산자단체, 상인단체, 영농조합법인, 행정 등 출하연합회 회원들이 단계별 감축방안을 놓고 토론을 벌였지만 의견차를 드러내면서 결국은 자율시행으로 결론이 났다.
행정에서 명단 공개의 강제성을 띠는 출하조절을 주장한 반면 농가·단체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이처럼 단계별 출하량 감축방안이 강제성을 띠지 못함으로써 작목반과 선과장별로 제각각 출하하는 현행 유통조직체계상 출하량 조절도 난항을 겪게 됐다.
이와 함께, 가공용 수매량의 4만2000t 증가에 따른 도개발공사의 감귤농축액 처리난도 가중될 전망이다.
대형음료업체들이 감귤주스 판매부진을 이유로 도개발공사의 농축액을 거의 구매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올해산 가공용 수매물량도 증가, 농축액 처리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도개발공사 관계자는 "농축액 판매가 어렵지만 감귤수급조절을 위해 배정한 가공용 물량을 최대한 처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출하연합회는 도농업기술원이 지난달 27일 최종 생산예상량을 64만t으로 발표함에 따라 지난 5월 58만t을 기준으로 수립했던 유통처리계획을 조정, 1일 전체회의에서 공개했다.
따라서 늘어난 6만t의 30%(1만8000t)를 상품용으로 도외에 출하하고, 나머지 70%(4만2000t)은 가공용으로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산 노지감귤의 유통처리계획은 상품용이 당초 47만t에서 48만8000t, 가공용은 11만t에서 15만2000t으로 각각 증가했다
제주도출하연합회는 이어 상품용 및 최근 출하량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 예방을 위해 10㎏ 상자당 8000원 이하 하락시 1일 출하량을 10~20% 감축(1단계)하고, 7000원 이하 하락시는 20~25% 감축(2단계), 6500원 이하 하락시 30% 감축(3단계)의 단계별 시행방안을 제시했다.
또, 2단계의 출하조절을 이행하지 않은 생산자·상인 등 회원단체의 명단을 공개하고, 3단계에는 미이행 명단 공개 대상을 영농조합·농가 등 출하자 전체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결국 의견을 한데 모우지 못한체 귀결 된것이다.
푸드투데이 서정용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