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무환. 식품안전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이보다 더 명확한 답은 없을 것입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식중독 등으로 인한 피해가 어느 때보다 심각하기 때문에 안전에 안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들은 식품이 정말로 안전한가? 에 대하여 많은 의구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도 이물질이 나온 식품에 대한 기사가 연일 지면을 장식하고 있고, 식중독 사고는 하루가 멀다하고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식품안전관리를 위해 여러 제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그 실효성에 대해 전문가와 대부분의 국민들은 신뢰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1998년부터 시작된 위해요소중점관리시스템(HACCP)은 그 자체로 매우 의미 있으며 실제적인 관리체계인데도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나라에 정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도 매우 낮은 실정입니다. 한국소비자원이 2008년 조사한 바로 국민의 80%가 HACCP에 대해 모르고 있었습니다.
또한, 정부는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HACCP 기준을 완화하여 중소기업도 인증을 받게 하겠다고 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요원한 제도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결국 식품안전을 위한 제도가 실질적으로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식품이 사람이 직접 먹기 때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있겠으나 그간 국민과 식품업계, 정부와의 신뢰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식품사고가 터질 때 마다 정부는 땜질식 처방을 내놓았기에 국민들은 ‘그러고 말겠지’라고 의례포기하고, 업계에서는 ‘소나기나 피해보자’는 식의 미봉책으로 대응하여 왔기에 지금의 사태에 이르지 않았나 싶은 생각을 합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근원적 처방’이라는 화두를 내놓았습니다. 그렇다면 식품안전에 있어 근원적 처방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무엇보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식품업계의 자구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민과의 신뢰를 쌓는 것이 그 어떤 최첨단의 기술이나 선진 제도보다 우선한다고 생각합니다.
국민의 사랑을 되찾기 위해서 식품과 관련된 모든 주체가 적극 노력하고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꾸준하게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푸드투데이 -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