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혈압
고혈압 환자 중 대부분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본태성 고혈압이 대부분이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두통, 현기증, 시력장애, 코피 및 실신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가족력이 있거나 나이가 들수록 많이 발견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비만 등으로 인하여 소아에서도 적지 않게 발견된다.
비만, 흡연, 음주, 스트레스, 조급한 성격들은 본태성 고혈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치료제로서는 환자의 연령, 동반질환, 상태 등에 따라 이뇨제, 혈관확장제, 베타차단제 등 항고혈압제가 사용된다.
경도의 고혈압 환자에서는 운동, 체중 감소, 식이요법, 스트레스이완요법, 건강기능식품, 생약 등 자연요법을 잘 이용하면 혈압을 조절할 수 있다.
중증도와 중증의 고혈압 환자에서는 자연요법적 치료만으로는 혈압이 만족스럽게 조절될 수 없으므로 항고혈압제 치료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자연요법을 병행하면 부작용을 줄이며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산사나무, 오메가 3, 생선유, 코엔자임 Q10, 나이아신, 비타민 E, 마늘, 양파, 홍국, 녹차, 콩, 셀레니움, 한의학에서 당귀, 황기, 인삼 등은 경도의 고혈압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
산사나무 추출물은 경도의 심부전증 환자 또는 경도의 고혈압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코엔자임 Q10 는 산화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 심부전증 등 심혈관계 질환 개선에 사용된다.
산사나무 추출물과 코엔자임 Q10, 마늘은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알려져 있고 부작용은 거의 없어 고혈압 환자에게 보조적인 요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한국인의 염분 섭취량은 간장, 된장, 고추장, 김치, 소금정리 등 염분이 많은 음식을 통하여 서양인의 2-3배 정도로 많다.
염분 섭취량을 최소한 일일 6g 이하로 제한하면 수축기 혈압을 9-15㎜ Hg, 확장기 혈압을 7-16㎜ Hg 정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화지방산(동물성 지방)과 트랜스 지방산(예, 기름에 뛰긴 것)은 피하고 대신 생선과 생선기름, 올리브기름, 오메가 3 지방산, 과일, 야채, 전곡 등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고혈압 환자에게서 스트레스를 이완시키는 생활습관이 대단히 중요하다. 바이오피드백, 명상, 호흡법 등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방법들을 배운 후에 이를 병원이 아닌 가정이나 직장에서 반복적으로 실천함으로서 생활습관을 변경하는 것이다.
자연요법이라해서 모든 요법이 부작용이 없는 것이 아니다. 특히 복용하고 있는 다른 약이 있을 때에는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푸드투데이 -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