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친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 | 경희의료원 소화기내과 이정일 교수가 지난 86~2000년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5년 주기로 비교한 결과, 86~90년 404명(6.5%)에서 91~95년 851명(10.3%), 96~2000년 1천556명(15.3%)으로 지나친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90년대까지 간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바이러스간염으로 알려져 있었다. B형 간염이 70%, C형 간염이 15%, 알코올성 간질환은 10%이하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음주 인구 및 음주량의 증가로 인해 알코올성 간 질환의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교수는 "지금 자라나는 10~20대에서는 B형 바이러스 보유율이 1% 이하로 선진국 수준에 이르고 있어 앞으로 20~30년만 경과하면 우리나라 질병 사망원인에 있어서 간경변증이나 간암에 의한 사망이 현저히 줄어든 반면 술에 의한 간손상 환자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견된다"고 밝혔다. |
이러한 현상은 미국이나 유럽 같은 선진국에는 이미 보편화된 현상으로 국민 소득이 증가하고 개인 및 공공위생 관념이 개선됨에 따라 바이러스성 간염과 같은 전염성 질환은 줄고 상대적으로 알코올성 간질환이 증가되면서 만성 간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 교수는 "술에 의한 간 손상은 술의 종류가 아니라 섭취한 알코올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고 밝히며 "알코올성 간경변은 매일 80g 이상(약 소주 1병), 10년 이상 마시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알코올성 간질환에 의한 생명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환자를 조기발견, 조기치료를 하며 금주 혹은 절주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