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부터 시행되는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를 두고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생산, 유통, 소비까지의 완벽한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15일 aT센터 중회의실에서 열린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공청회'에서는 유기가공식품 인증제 도입 발표와 함께 유기가공식품 인증대상 및 인증마크 등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제시됐다.
풀무원 유기농전략구매팀 배경근 팀장은 "국가 기관에서 인증한 글로벌화된 인증마크로 유기가공식품이 국내가 아닌 세계적으로 판매돼야 한다"며 "유기가공식품의 함량에 따라 차별화된 인증마크 역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 팀장은 "유기적 취급 허용물질의 규정도 정확한 조건 제시로 안전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유기농시민연대 구연원 회장은 "인증마크가 국내에서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되며 생산, 유통을 소외시 하는 근본적인 체계 없이는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옥산농산 전병순 대표는 수입 유기가공식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인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국식품연구원 지역특화사업단 박성훈 박사는 "무조건 수입 식품을 인정하면 국내 식품은 어떻게 해야 되냐"며 "소비자와 선의의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수입이든 국내산이든 동등한 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성훈 박사는 또한 "수입 식품의 경우 동등성이 인증된 국가 기관에서 인증을 받고 지정된 수입업자가 수입한 식품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푸드투데이 이진희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