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곡물 수급 안정을 위한 정부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7일 오전 10시 정승 식품산업본부장 주재로 국내 곡물 수급 점검 및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대책마련을 위한 '국제 곡물가격 상승 대응 TF 2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제분협회, 하림, 풀무원 등 업계 대표와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촌경제연구원 등 총 22명이 참석했다.
농식품부는 최근 곡물가격 상승은 유가상승에 따른 대체수요로 바이오에너지용 곡물 수요가 증가하고 개도국의 육류 소비증가, 주산지의 기상여건이 악화된 가운데 국제해상운임이 상승하고 러시아 아르헨티나 등 곡물 수출국의 수출세 부과 강화, 국제 투기자본의 유입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특히 농식품부는 OECD-FAO, FAPRI 등 해외 기관의 전망치를 볼때 현재 곡물가격의 상승 추세는 2008-2009 시즌에도 계속되고 가격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 우려했다.
이에따라 농식품부는 국제 곡물가 상승에 대한 대책으로 단기적으로는 사료구매자금 1조원 특별지원 및 할당관세 인하등의 조치를 취해 농식품업계의 부담을 완화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식량안보 차원에서 안정적 공급을 도모하고 쌀 가공품 등 새로운 수요창출을 통한 수입밀 대체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승 식품산업본부장은 "국제곡물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대책추진도 중요하지만 수입선 다변화 및 선물거래, 경쟁력 강화 등 업계의 자구적인 노력도 필요하다며 업체들도 자생력을 키워줄 것으로 당부했다.
푸드투데이 이진희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