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학교들이 직영급식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집단식중독 사고는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교육당국은 식품위생안전에 초점을 맞춘 강력한 정책 방안을 내놓았음에도 식중독 사고만큼 사전 예방이 불가피한 모양이다.
아무리 우수 농산물을 학교급식에 지원한다고 해도 식재료 및 조리에 관한 전문인이 없으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급식대란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게 식품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와 관련 지난 17일 서울시교육청 학교체육보건과 최병록 사무관은 “학교급식에 따른 식중독 예방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다”면서 “내달 식약청과 함께 각 학교를 대상으로 급식시설 및 위생안전에 대한 공동점검에 나설 방침이다”고 말했다.
최 사무관은 또 “여름철을 앞둔 상황에서 식중독 발병 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현재 시교육청은 학교급식 위생안전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며 “식중독 사고는 일차적으로 학생들의 건강 및 학업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엄격하게 단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최 사무관은 “지난해 6월 수도권 지역 위탁급식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한 식중독 사고를 교훈 삼아 다시는 학교급식 현장에서 유사한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학교급식 운영관리시스템 개선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 사무관은 “학교급식은 학교장의 관심과 교직원의 협조 여하에 따라 식품안전과 품질이 가능하다”며 “학교운영위원회 산하에 급식소위원회를 설치해 학부모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어 급식 문제점의 해결이 조기에 완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학교급식 시설을 갖춘 지 10년 이상 경과된 노후급식소에 대해 냉장·냉동시설, 조리기구 등을 대폭 교체함은 물론 HACCP 시스템 적용에 필요한 식재료 검수장비도 확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푸드투데이 박현태 기자
hope@fenews.co.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