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는 농산물 가운데 쌀에 대해서만 카드뮴 관리기준(기준규격 2ppm 이하)이 마련돼 있고, 나머지는 중금속의 관리기준이 없는 상태다. 일본, 유럽연합(EU)은 쌀을 포함한 채소류, 과일류 등까지 중금속 관리기준을 설정해 놓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농림부, 환경부, 학계,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민ㆍ관합동농산물 등 중금속조사단(단장 변철식 식약청 차장)은 농산물과 토양에 대한 중금속 관리 기준 등을 마련하기 위해 7일 미국 농무부(USDA)와 식품의약국(FDA)을 방문, 농산물 등의 중금속 관리시스템 등을 파악했다.
미국은 개별 농산물에 대해 별도로 중금속 관리 기준을 정해 놓지는 않고 있으나 먹는 음식물을 종합적으로 파악, 중금속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날 경우 해당 품목을 집중 조사해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조사단은 이어 미국 환경청(EPA) 등을 방문, 이 나라의 토양과 수질관리 시스템에 대해 파악할 예정이다.
조사단은 또 연말까지 일본, 유럽연합(EU) 국가들의 중금속 관리기준 등도 파악 한 뒤 오는 2006년까지 옥수수, 콩, 감자, 고구마, 배추 등 10개 농산물의 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등 인체 유해성이 높은 중금속에 대한 관리기준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의 한해 평균 농산물 수입액 규모는 249만7천달러(2004년말 현재) 어치이며, 이 가운데 미국이 92만7천달러 어치로 전체 수입액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앞으로 1년간 평야지대에서 생산됐거나 수입돼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9천600건을 검사하고 농림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위원회는 폐광지역 인근 농산물 2천600건, 국립환경연구원은 폐광지역 인근 토양과 농업용수 4천840건에 대해 각각 검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식약청 내에 농림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학계,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중금속기준설정위원회'가 설치 운영된다.
Fe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