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면 고산2리 주민 좌동집(61)씨는 "지난 4월 중순께 이웃 마을의 김모(여)씨를 통해 중국산 기장 종자를 구입해 9천여평에 파종했는데 나중에 자라난 것을 보니 기장이 아닌 조 였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좌씨는 최근 마늘을 심기 위해 9천여평 가운데 3천여평을 갈아엎었다.
좌씨 뿐만 아니라 한경면 고산리와 산양리, 용수리 등 3개 마을 농민 10여명 8만여평에 김씨로부터 기장 종자를 구입해 심었으나 때이른 조가 자라나 낭패를 보았다.
이에 대해 김씨는 "부산에 있는 D양곡상회에서 소개받은 김모씨를 통해 이 종자를 구입했는데 그가 주문을 잘못해 이같은 일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말했다.
김씨도 6천여평에 잘못 구입한 기장 종자를 파종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부산의 또 다른 김씨는 "농사를 지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조를 기장으로 잘못 알았다"며 "능력이 닿는데까지 보상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원래 시기 보다 일찍 이삭이 핀 조의 생육이 불량해 모두 갈아 엎어야 할 처지여서 농민들은 기장 수확후 수입의 절반 가량의 보상을 요구하며 경찰에 고소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Fe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