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 인기 '꾸준' 코엔자임 '급부상'
카테킨은 전 연령층서 사랑받아
종합 마케팅회사인 富士經濟가 2004년 12월부터 2005년 5월에 걸쳐 수도권 거주 20~69세까지의 남녀 중, 건강미용식품을 월 1회 이상 구입해 애용하고 있는 소비자 400명(남성 200,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심층 조사한 일본 일반 소비자의 건강미용식품의 이용 실태, 특정보건용식품의 인지상황, 주요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 등에 대한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아미노산, 코엔자임 Q10, 카테킨, 흑초(黑酢) 인기
소비자가 건강미용식품에 주목하게된 계기로는 TV, 라디오 CM으로부터 정보를 얻은 경우가 가장 많다. 아미노산, 코엔자임 Q10의 경우는 복용경험자가 전체의 30%에 육박하고, 카테킨의 경우, 약 40%에 달하고 있다.
한편 흑초는 주로 입소문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복용 경험자는 전체의 30%정도를 차지해 그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아미노산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복용되고 있다. 20~30대에서 아미노산을 현재 복용하고 있다고 대답한 비중이 회답자의 약 40%였다.
아미노산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의 50% 이상의 사람이 아미노산을 포함한 음료를 복용한 적이 있어 음료에 의한 복용경험이 높지만, `정제, 캅셀',`과립, 분말' 등의 이른바 영양제(supplement)를 통한 복용도 전체의 30%로 높아지고 있다.
복용목적은 `일상의 건강 유지향상'이 복용 경험자 전체의 4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에 `피로 회복(20%)'이나`부족한 영양소의 보급', `비만 해소나 중성지 억제'등(10%대)을 들 수 있어 폭 넓은 목적으로 복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코엔자임Q10의 타깃층은 30~50대로 상정된다. 복용한 적이 있다고 회답한 사람은 회답자의 약 15%로 침투도가 낮다.
현재 상태로서는 여성의 복용률이 높다. 압도적으로 `정제, 캅셀'의 영양제(supplement)를 통해 복용되고 있어 복용경험자 전체의 80% 가까이를 차지한다. 복용빈도는 `매일'이라고 답한 사람이 50% 이상을 차지해 가장 많다.
이에 `2~3일에 1회'의 사람을 더하면, 전체의 70% 이상에 이르고 있어 복용 빈도가 높은 성분이다. 복용 목적은 `일상의 건강 유지향상'이 복용 경험자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카테킨은 각 연령층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20~50대까지의 복용 경험률이 어느 연령층에서도 50%정도이다. 복용한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40%였고, 남성이 약 50%로 약간 높다.
'음료'가 복용경험자 전체의 85%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카오(花王)사의 `헤르시아 녹차'로 대표되는 건강음료(녹차) 히트상품이 수요확대의 원동력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필요할 때마다 이용하는 유저가 많은 듯 하며 `정기적으로는 복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사람이 약 25%에 이르고 있다. 복용목적은 `일상의 건강 유지향상`이 가장 많아, 복용경험자 전체의 45%정도에 이르고 있다. 그 다음으로`생활 습관병의 예방`(25%)이 가장 많았다.
흑초(쿠로즈)의 주복용자는 30대 이상이다. 60대에서는 현재 복용하고 있는 비율이 전체와 비교해 높아지고 있어 복용한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60대가 전체의 55%정도이고 여성의 비율이 높다.
압도적으로 `음료'를 통해 복용하고 있으며, 전체의 8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영양제(supplement)타입의 `정제, 캅셀'은 전체의 15%정도로 적다. 흑초는 `매일'과 `2~3일에 1회'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 복용경험자 전체의 6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정기적으로 복용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복용 목적으로서 가장 많은 것은 `일상의 건강 유지향상'이며, 전체의 45%정도에 이른다.
전문판매점 구입 선호 통신판매 편의점 순
구입 루트(판매 채널)는 `드러그 스토어(Drug Store)'가 가장 많고 전체의 40%가까이를 차지한다. 이 채널이 건강미용식품을 구입하는 주요 채널인 것으로 엿볼 수 있다. 전년 조사결과와 비교해, `드러그 스토어'의 회답률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그 다음에 `통신 판매(인터넷 포함)'이 30%이며, `편의점'이나 `슈퍼' 등의 음식계 유통채널이 전년 조사보다 하락했다. 연령층으로 비교한 경우, 40대는 `통신 판매'의 이용이 가장 높아졌지만 그 외의 연령대는 `드러그 스토어'가 가장 높다.
주요 특정 보건용 식품의 동향을 살펴보면, 특정 보건용식품을 `현재 구입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80% 가까이에 이르고 있어 `과거에 구입한 적이 있는' 사람을 더한 구입경험자의 비율이 90%를 넘는다. 여성이 구입하고 있는 비율이 높다.
통신판매를 건강미용식품의 주된 구입 채널로 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30%정도였다. `정제, 캅셀'이나 `과립, 분말' 등의 영양제(supplement) 타입의 구입에 잘 이용되고 있다.
효능별로는 `생활습관병 예방', `다이어트' 등으로 복용 경험률이 높아지고 있다. 향후의 복용의향에 대해서도 `생활습관병 예방', `다이어트' 등으로`복용하고 싶다'라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
통신판매 이용의 이유는 `구입이 쉽다'가 70%를 넘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가격이 적절하다'라는 답도 50%를 넘어 가격면에서의 우위가 통신판매 채널 구매행동으로 연결되고 있다.
푸드투데이 fenews 기자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