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부가 계란 중량규격 명칭을 국제표준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축산업계가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24일 성명을 통해 “계란 중량규격 명칭 변경은 단순한 표기 문제가 아니라 산업 운영 전반과 소비자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라며 “정부는 일방적 추진을 중단하고 생산자·유통업계·소비자·학계 등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통해 충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10월 발표할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가칭)'을 통해 현행 중량규격(왕란·특란·대란·중란·소란)을 국제표준 방식(XXL·XL·L·M·S)으로 바꾸고, 난각 표시도 기존 ‘판정’ 대신 1+, 1, 2등급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기존 명칭이 소비자에게 직관적이지 않고 혼동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개편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는 현장의 현실과 비용 부담을 우려한다. 협의회는 “이미 기존 규격에 맞춘 생산·포장·판매 시스템이 정착돼 있어 명칭 변경 시 포장재 교체, 유통 안내 수정, 소비자 홍보 등 추가 비용과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며 “오히려 소비자 혼란을 키우고 시장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협의회는 “정부 정책 방향인 국제 정합성과 소비자 이해도 제고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산업 안정성과 소비자 편익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시범사업을 통해 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끝으로 “정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경우, 계란산업 관련 업계와 연대해 전면적 반대와 단체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