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뿌리를 수확하고 남은 녹색 잎과 줄기인‘무청’이 간암억제효과가 있는 등 우수식품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식품연구원(원장 강수기)김영진 박사팀은 무 뿌리를 수확하고 남은 무청에 간암억제효능이 있고 식이섬유와 칼슘(Ca), 철(Fe)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우수한 식품소재라고 최근 밝혔다. 식품연구원에 따르면 간암이 발생되는 실험쥐에 무청을 먹이고 사육한 결과, 무청을 섭취한 쥐는 그렇지 않은 쥐보다 간암 발생률이 현저히 적게 나타났다. 무청에는 식이섬유가 배추나 무보다도 더 풍부한 것으로 조사됐다. |
또 한식연은 무청에 있는 철은 조직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쉽게 흡수되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흡수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무청가공방법도 최근 개발했다고 덧붙였다. 이 가공방법으로 처리된 무청을 빈혈이 발생된 실험쥐에 먹인 결과, 빈혈이 개선됐다는 것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김영진 박사는 “ 과거 저급 식품소재로 인식되었던 무청이 이제는 간암억제소재, 식이섬유와 칼슘, 그리고 철을 공급할 수 있는 우수한 자연건강식품소재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경진기자/lawyoo@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