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창간14주년기념인터뷰] 김정욱 사무총장 "과거 서울친환경유통센터 아니다...공정.투명성 확보"

지난해 2월 운영위원회 발족, 학교.학부모 등 참여 학교 선택권 보장
산지농산물 공급업체 선정 투명성 제고, 물류업체 독점 구조 벗어나
식재료 안전성 확보 정밀 반응검사, 식재료 비용 시중보다 약 10% 저렴

지난 2014년 농약급식 파동과 임직원 비리로 일선 학교의 외면을 받으면서 이용률이 급감했던 서울시 산하기관인 '서울친환경센터'가 식재료 유통구조 개선, 수수료 조정 등 내실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점차 증가세로 돌아서고 있다.


서울친환경유통센터는 안정적 급식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에 나섰다. 이를 위해 서울친환경유통센터의 사용료를 조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한 식재료 가격 산정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가격 심의 소위원회를 구성, 농수축산물 품목별 가격의 세분화, 가격 산정 주기 개선 등이 마련된다. 식재료의 안전 및 품질 관리를 강화키 위해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를 현행 320종에서 332종으로 확대하고 검사 건수도 1일 115건에서 150건으로 늘린다.


서울친환경유통센터가 서울시내 초중고교에 공급하고 있는 친환경 식자재 물량은 2014년 7400여 톤에서 2015년 10월 현재 1만 1000여 톤으로 지난해 물량을 초과했다. 그 금액도 2014년 520억원에서 2015년 10월 현재 800억원으로 크게 증가 했다.  
 

일평균은 2014년 37톤에서 2015년 76톤으로 증가했으며 금액 또한 2억 6000만원에서 5억 5000만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같은 성장에는 지난해 2월 발족된 서울친환경유통센터 운영위원회가 한몫했다.


서울친환경유통센터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인 김정욱 국가교육국민감시단 사무총장은 최근 푸드투데이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간 센터 변화에 대해 언급했다.


김 사무총장은 "2014년 친환경유통센터는 학교측의 외면을 받아서 운영이 어려운 상태에 들어갔었다"며 "그로 인해 결국 서울시와 친환경유통센터측에서 2015년 정상화시키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고 말했다.


그는 "그간 문제가 됐던 특정 시민단체의 영향력 하에 움직이는 유통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에 여야 합의가 이뤄졌다"며 "그 일환으로 센터에 운영위원회를 만들자 였고, 운영위원회는 그동안 센터를 비판하고 문제점들을 밝혀왔던 시민단체 인사들도 같이 소속돼 바로잡는데 함께 일을 해보자는 것이였다"고 설명하고 운영위원으로 들어가게 된 배경을 전했다.


그는 가장 큰 변화로 서울친환경유통센터 유통구조의 공정.투명성을 꼽았다.


센터 운영위원회는 학교급식의 소비자라고 할 수 있는 학교 측, 교육청에서 추천한 교장선생, 행정실잘, 영양사, 학부모 등 8명을 운영위원회에서 절반이상을 차지하도록 했다. 여기에 센터의 비판적인 입장을 갖고 있었던 시민단체 인사, 서울시의회 의원 등이 함께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개혁을 위한 인적구성을 가지고 시작됐다.


김 사무총장은 "전에는 특정시민단체 인사 위주로 움직였다. 예를 들면 산지 친환경농산물 공급업체를 4개만 선정해서 4개업체가 전국 농산물을 수집해서 납품하는 식으로 3년동안 1500억 정도 된다"며 "독점 납품하도록 하는 이권구조가 있었다. 이런것들은 개선하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친환경농산물을 공급하는 산지 공급업체를 11개로 늘렸다. 또한 산지 공급업체 추천하는 추천권을 시도지사에게 줬다'고 말했다. 특정시민단체가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산지농산물 공급업체 선정 절차도 투명성을 제고했다. 11개 산지농산물 공급업체가 새로 정정돼 3월부터 가동이 시작됐다.


그는 "서류심사부분에는 거의 점수를 사전적으로 점수내는 척도들을 결정해서 임의로 점수를 조정할 수 없도록 해서 서류심사를 했고 현지 실사는 센터 운영위원회 위원들이 직접 나서서 실사를 했다"고 했다.


또한 "실사를 할 때 각 도의 도청직원들이 연합해 실사를 했기 때문에 센터직원들이 영향력을 끼친다던지, 특정단체가 영향력을 끼 칠수 없는 이런 구조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물류업체 역시 독점 구조에서 벗어나 지난해 25개로 크게 확장했으며 서울.경기권에서 학교급식에 참여하고자 하는 업체들은 거의 참여 하게끔했다.


학교 선택권도 보장했다.


그는 "전에는 납품업체를 정하면 센터가 학교를 배정했다. 학교는 선택권이 없었다"며 "지금은 학교가 납품업체를 직접 선정한다. 납품업체도 25개로 대폭 늘렸을 뿐만 아니라 선정을 학교가 하니까 때로는 극단적인 경우 학교에 선정을 받지 못하는 경우 센터에서 납품업체로 지정됐다 하더라도 납품할 기회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쟁적인 요소가 들어가면서 학교 선정을 받기 위해서 업체는 서비스를 개선하고 반품처리나 결품처리하는데 적극 나서서 협조 하지 않을 수 없는 체제로 만들어서 학교위주, 소비자 위주에 센터 유통구조를 만들었다"고 했다.


운영위원회가 다시 발족되면서 식재료 안전성 관리도 획기적으로 달라졌다.


김 사무총장은 "과거에는 센터가 홍보하기를 잔류농약 0%, 완벽한 것처럼 했지만 사실은 잔류농약이 검사를 통해서 파악은 불가능하다 사실은 과장홍보를 해 왔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당시 센터는 속성검사, 간이검사 위주의 속성검사를 했었다. 간이 속성검사는 DDT 같은 특정한 30여가지 종류에 농약만을 검출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이 체제가 바껴서 정밀 반응검사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밀 반응검사를 통해서 문제점이 있을 때는 다시 전체 검사를 하는걸로 이렇게 해서 과거에 간이속성검사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체재로 바꼈다"고 덧붙였다.


과거 약 40~50% 비쌌던 센터의 식재료 비용도 현재는 시중보다 약 10% 내외정도 저렴해졌다.


식재료가 저렴해진 것에 대해 김 사무총장은 "센터 수수료율을 과거 3~7%까지 받던것을 약 2%까지 내렸다. 다음 납품업체가 가지고 갔던 배송수수료를 17~18%에서 12%까지 낮췄다"고 설명하고 "서울시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내에 친환경유통센터는 서울시의 위탁을 받아서 친환경 학교급식을 지원하는 것. 이렇게 본다면 센터가 식재료에서 수수료를 땔 것이나 아니고 사실은 서울시가 위탁할 수 있는 위탁수수료를 서울시 예산으로 지원을 해야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원순 서울시장은 연간 30억 정도 지원하게 되면 센터가 학교 식재료를 공급하면서 수수료를 땐다는 소리를 안들을 수 있다"며 "2016년 예산에는 반영되지 못했지만 하반기 추경예산에서라도 서울시 예산으로 지원되면 더 이상은 학교 식재료비에서 때서 운영한다는 오해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 부분이 우리가 해결해야 될 과제"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5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